인사이트 경북뉴스 임채길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1박2일 양주-남양주 민생투어의 화두 중 하나는 ‘청년’이었다.
김동연 지사는 첫 일정인 양주별산대 놀이마당을 찾아 20대 청년이수자 윤동준씨를 만났고, 김 지사의 혁신공공의료원 설명회 현장에는 서정대 간호학과 및 응급구조과 학생들이 참여했다. 김 지사는 설명회가 끝난 뒤엔 서정대생들과 별도의 간담회 자리도 마련했다.
공식일정만 6개를 소화하는 강행군 속에 양주시 청년센터에서 ‘청년 창업자 간담회’(오후 4시 40분~오후 5시 30분)도 진행했다. 온라인 판매, 자동차 테크 상품 개발·판매, 주방가구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청년 창업기업 대표 12명이 참석했다. 청년 창업자 간담회에서의 참석자들은 가감없는 현실을 전달했다.
도청과 산하기관 간부들이 답변이 끝나자 주로 듣기만 하던 김동연 지사가 2017년 경제부총리 취임사 얘기를 꺼냈다.
“취임사에서 내가 얘기를 했다, ‘우리가 언제 한번 회사가 파산해서 월급 못 받을 걱정한 적 있느냐. 우리가 언제 한번 벤처나 소상공인, 중소기업인들처럼 사업 잘 안 돼서 직원들 월급 주지 못 할까봐 걱정해 본 적 있느냐’”
그런 뒤 김 지사는 “솔직히 좀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공직자들이)조금 자세를 바꿨으면 좋겠다. ‘이런 데 가면 된다’ 이런 얘기는 안 했으면 좋겠다’. ‘어디 어디와 협의해서 뭘 해보겠다’, ‘어디 소관이다’ 이런 얘기하지 말고, 손에 (직접)물 묻히는 일을 했으면 좋겠다”면서이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우리 간부들에게 지시한다. 네 가지는 적극적으로 다시 검토하라”고 말했다.
①벤처기업들의 공공부문 조달 방안 강구 ②대출시 담보나 3개월 매출 실적이 없어도 기술력이나 잠재력으로도 가능하게 하는 방법 강구 ③채용 할 때의 인건비 지원 ④중앙부처에서 지원받았을 때 경기도의 중복지원이 불가하다는 방침의 재검토 등이었다.
김 지사는 벤처기업들의 공공부문 조달 방안 강구와 관련해서 “공공조달 같은 경우 공공부문에서 벤처나 중소기업 물건 사주지 않으면 어떤 실적이 있어서 판로를 개척하겠느냐”고 되묻기도 했다.
김 지사는 “네 가지는 빠른 시간 내 가시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기 바란다”고 했다.
이밖에 참석자들이 건의한 ▲지원액 상한 금액 조정 ▲예비사회적기업 지원 확대 ▲육아문제 등에 대해선 내부 또는 중앙부처와의 협의를 지시했다. 일일이 모든 건의사항에 대해 직접 답을 준 셈입니다. 김 지사는 그런 뒤에도 “오늘 얘기하신 분들 전부에게 빨리 (최종적인) 답을 드릴 수 있도록 하라”고 당부했다.
이어 김 지사는 “정말 열심히 도의 공무원들이 일하고 있음을 안다. 쉬운 일이 아니지만, 시민과 도민과 기업인 입장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그렇게 한번 노력해보자”고 독려했다.
김 지사는 “양주뿐만 아니라 경기도의 우리 벤처기업인들이 오늘처럼 얘기를 하고, (공무원은) 들을 수 있는 창구를 만들고, 답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안 그러면, 매달 이런 간담회 하고, 말의 향연이 벌어지고 해봐야 별로 효과적이지 않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출처 :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