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경북뉴스 임채길 기자 | 대구광역시는 8월 25일부터 ‘대구 이노-덴탈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본 사업은 지난해 4월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최종 선정된 뒤, 같은 해 7월 특구 출범식을 통해 시작을 알렸다. 올해 5월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주관으로 실증 준비와 안전계획 수립 등 정기 점검을 완료하며, 모든 사전 준비를 마쳤다.
동구 신서혁신도시 등 4개 구역, 총 14.3㎢ 규모로 지정된 ‘이노-덴탈 규제자유특구’는 의료폐기물로 버려지던 인체 치아의 재활용을 허용하는 특례를 적용받아, 특구 내에서 세계 최초로 동종치아 골이식재 개발 및 기술사업화 실증을 추진하게 된다.
현재 국내에서 발치되는 치아는 연간 약 1,380만 개로 추정되나, 현행 ‘폐기물 관리법’상 태반을 제외한 인체 유래물은 의료폐기물로 분류되어 재활용이 금지돼 있어 전량 폐기되고 있다.
이에 대구시는 폐기물로 분류되던 인체 치아를 본인 동의를 거쳐 기증받아 동종치아 골이식재로 개발·상용화하는 세계 최초의 모델을 구축, 치의학 산업의 미래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골이식재 국산화 및 수출산업화를 동시에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실증사업은 2025년부터 2028년까지 4년간 진행되며, 대구시가 사업 전반을 총괄하고 대구테크노파크는 주관기관으로서 실증 R&D와 사업화를 지원한다. 또한, 경북대학교치과병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덴티스를 포함한 6개 기관이 기증자 모집, 치아수거, 시제품 제작 등에 참여한다.
실증 범위는 ▲치아기증 시스템 구축 ▲치아 수집 및 멸균 처리 ▲원재료 가공 ▲시제품 제작 ▲성능 평가 ▲임상시험 ▲인허가 등 전 과정을 포함하며, 기증자 이력 관리 및 생물학적·임상적 안전성 및 유효성 시험평가 시스템도 함께 구축된다.
현재까지 다수의 기증 치아가 수집돼 원료 가공과 시제품 생산 준비를 마쳤으며, 앞으로 ▲생물학적 안전성 시험 ▲바이러스 불활화 시험 ▲인허가 자료 수집 등의 과정이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동종치아 골이식재’는 자가치아 이식의 한계를 극복해 무치아 환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던 골이식재를 국산화함으로써 수입 대체효과는 물론, 바이오 원료 원천기술화로 글로벌 시장 선점 및 수출증대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최운백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대구가 덴탈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대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