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경북뉴스 임채길 기자 |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내년 6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을 앞두고 10개 군·구 지역사회보장조사를 시작한다고 30일 밝혔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내년 6기(2027~2030) 지역사회보장계획 세우기에 앞서 올해 지역별 사회보장조사에 나선다. 조사 기간은 8월~10월이다 지역사회보장계획은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35조에 따라 시·군·구가 4년마다 세워야 하는 법정 계획이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이 맡아 진행하며 10개 군·구별 600가구, 전체 6,000가구가 대상이다. 설문지를 이용한 대면조사 방식이고 일반가구와 장애인, 노인, 아동, 저소득, 다문화, 1인 가구, 북한 이탈주민 등 특수욕구계층을 포함한다. 내년 행정구역이 2군8구에서 2군9구로 개편하는 지역적 특성도 반영한다. 활동하는 조사원 규모는 185명이다.
설문 항목은 가구 일반현황과 아동·노인·장애인돌봄 현황, 교육·고용·주거·문화사회복지 등 서비스 이용 현황, 정신·신체건강 상태, 가족·사회적관계, 정책시급성 및 노력체감도, 생활여건 및 지역 불균형 등 27가지 문항으로 구성한다. 여기에 지역 특화 문항을 추가한다. 돌봄서비스 이용 전반과 1인 가구 및 다문화 가구 현황, 남동구는 북한 이탈주민을, 옹진군은 별도 문항을 추가한다. 위기가구를 확인할 수 있는 질문도 더한다.
조사 결과는 지역별, 인구 특성별로 검토하고 지난 5기(2023~2026) 계획과 비교·분석한다. 또 외부 전문가와 6기 계획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활용한다.
연구를 맡은 이선정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 좀 더 주민에게 가까운 정책을 발굴하고 실현하는 데 목적이 있다”며 “인천은 구도심과 신도심의 구분이 뚜렷하고 도시와 농촌, 도서 지역이 공존하는 곳으로 지역적 특수성을 지역사회보장계획에 제대로 담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인천시사회서비스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