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서울

서울시, 미취학 아동과 보호자를 위한 유아 신문 ‘내친구서울 새싹’이 나왔어요

개인·기관 구독 요청 많아 올해부터 연 3회, 어린이집‧유치원 등에 11만 부 배부

 

인사이트 경북뉴스 송세은 기자 | 3~6세 유아와 보호자가 함께 보는 서울시 유아 신문 ‘내친구서울 새싹’ 4호가 5월 초 발행된다. ‘내친구서울 새싹’은 신문 판형, 8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울시 초등학생에게 학교로 배부하는 24년 역사의 어린이신문 ‘내친구서울’의 동생판이다.

 

신문을 보며 아이는 색칠하기, 선 긋기, 만들기, 퀴즈 맞히기 등 새로운 체험을 하고, 보호자는 서울시의 다양한 보육 정보 및 아이와 함께 하는 문화·체험 프로그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지난해 ‘내친구서울 새싹’은 1호(5월), 2호(8월), 3호(10월)를 시범 발행했으며 매호 96%가 넘는 독자 만족도를 보이며 큰 호응을 얻었다. 독자 반응을 고려해 올해부터는 연 3회(5월·8월·10월), 11만 부를 발행해 어린이집, 유치원, 키즈카페, 어린이 관련 기관 등에 배부할 예정이다.

 

새싹 신문은 스마트폰 등 각종 영상에 노출되기 쉬운 유아에게 종이로 된 활자를 읽고, 쓰고 그리고 색칠하며 만드는 기회를 주는 종이 매체여서 발행과 동시에 좋은 반응을 얻었다. 창간호 발행 이후 어린이집과 유치원, 키즈카페 등에서 배부 추가 요청 및 지속적인 발행을 요청했고, 구독 방법 등 새싹 신문에 관한 문의가 쏟아졌다.

 

5월 발행하는 ‘내친구서울 새싹’ 4호에는 서울의 공원에서 즐기는 놀이기구 색칠하기, 공연장에서 보고 들을 수 있는 악기의 짝을 찾아 선 긋기, 서울야외도서관에서 전래 동화 보며 이야기 만들기, 도형 순서 찾기, 감정을 공감하는 해치 표정 주사위 만들기 등 유아를 위한 다양한 활동지가 포함되어 있다. 또 보호자를 위한 보육 정보, 산과 공원, 박물관 등 서울을 누리는 방법, 어린이 관련 시설 및 체험 프로그램 정보 등을 담았다.

 

내친구서울 새싹 4호는 서울야외도서관 3곳(서울광장, 광화문, 청계천)에 비치해 아이와 보호자가 함께 서울야외도서관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기며 유아 신문도 체험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이 밖에 새싹 신문은 서울상상나라, 서울백제어린이박물관, 서울도서관 등 어린이 관련 기관에서도 만날 수 있다.

 

새싹 4호에는 신문을 보며 유아와 보호자와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다양한 참여 코너도 마련되어 있다.

 

신문에 있는 참여하기 QR코드를 인식하거나 내친구서울 누리집을 통해 신문 속 숨은 해치 찾기, 쫑긋쫑긋 악기 소리 맞히기, 마음 공감 해치 주사위 만들기 등에 참여할 수 있다.

 

유아와 보호자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내친구서울 새싹’은 종이신문뿐 아니라 내친구서울 누리집에서도 온라인으로 언제든 볼 수 있다. 내친구서울 및 내친구서울 새싹 신문은 매호 발간 후, 뉴스레터 구독자(10만 8백여 명)에게 발송해 어린이와 보호자가 함께 누리는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한편, 3학년부터 학교에서 받아보던 내친구서울 어린이신문은 지난해부터 초등학교 1~6학년 학생에게 모두 배부해 99.4%의 독자 만족도를 보였으며, 새싹판 발행으로 서울시 모든 어린이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민수홍 서울시 홍보기획관은 “내친구서울 새싹은 저출생 시대에 유아와 보호자를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신문으로, 아이들은 활동지를 통해 놀면서 정보를 접하고, 보호자는 아이와 함께 이야기하는 시간을 통해 다양한 보육·체험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며 “서울의 매력을 누리며 아이와 더 많은 것을 체험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