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경북뉴스 임채길 기자 | 대구문화예술회관은 오는 9월 4일과 5일 오후 7시 30분, 팔공홀에서 서울시무용단의 대표 레퍼토리이자 한국무용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 ‘일무’를 선보인다.
서울시무용단의 ‘일무’는 국가무형문화재이자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유산인 ‘종묘제례악’의 의식무인 일무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대규모 출연진들의 역동적인 칼군무와 웅장하면서도 감각적인 무대 미장센으로 평단의 호평을 받아왔다.
현재 세종문화회관의 대표 레퍼토리로 자리매김한 이 작품은 8월 세종문화회관과 강릉 공연을 성황리에 마친 뒤 대구 무대에 오르며, 서울과 강릉 공연은 이미 전석 매진을 기록했다.
1974년 창단된 ‘서울시무용단’은 반세기동안 한국무용의 보존과 창작을 동시에 추구해 온 대표적 전문 무용 단체이다. ‘한국 창작춤’의 산실로 전통춤의 재현, 창작에 이른 넓은 스펙트럼으로 서울시무용단만의 레퍼토리를 통해 한국 무용의 우수함을 전 세계로 전파하기 위해 앞장서고 있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정구호와 안무가 정혜진, 김성훈, 김재덕의 협업으로 2022년 첫 선을 보인 ‘일무’는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매진행렬에 이어 2023년 미국 뉴욕 링컨센터 전회차 매진의 기염을 토하며 해외 언론의 극찬을 받았다.
이번 공연은 단순한 전통 재현을 넘어, 현대적 감각을 입혀 새롭게 해석한 무대로 완성된다. 총 4막으로 구성된 이번 공연 중 1막 ‘일무연구’에서는 보태평의 문무 ‘전폐희문지무’와 정대업의 무무 ‘정대업지무’를 원형으로 제시하고, 현대적 변주로 재해석한다.
2막 ‘궁중무연구’에서는 버드나무 가지에서 맑게 지저귀는 꾀꼬리의 모습을 보고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춘앵전(춘앵무)를, 3막 ‘죽무’에서는 추운 겨울에도 푸른 잎을 간직하는 대나무처럼 서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각자의 춤을 바탕으로 하나의 마음을 만드는 합일의 춤을 보여준다.
마지막 4막 ‘신일무’에서는 일무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새롭게 재해석해, 이 시대를 대변하는 현대적 언어의 새로운 창작 일무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세종문화회관과 대구문화예술회관이 공동으로 예산을 투자해 마련된 무대로, 두 기관의 맺은 업무협약(MOU) 이후 첫 번째 교류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희철 대구문화예술회관 관장은 “서울시무용단의 ‘일무’는 한국 무용의 상징성과 예술적 완성도를 모두 갖춘 걸작으로, 대구 관객들에게 한국 전통예술의 깊이 있는 감동을 선사할 것”이라며, “궁중무용의 장엄함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특별한 무대를 경험해 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뉴스출처 : 대구시]